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채권금리와 수익률의 개념

까멜로앤써 2024. 2. 10. 17:25

목차



    반응형

    채권금리과 수익률의 개념
    채권금리과 수익률의 개념

     

    1. 투자대상으로서의 채권

    국채의 수익률은 대단히 낮지만 만기가 긴 채권일수록 위험이 크고 수익률, 이자율이 높음
    장기적으로 금리가 떨어질 것으로 판단되면 만기가 긴 국채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 ETF상품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

     

    2. 채권금리와 만기수익률 차이

    채권의 쿠폰금리(표면금리)는 액면가 대비 고정 쿠폰이자의 비율을 말하는데
    예를들어, 액면가가 10,000원이고 쿠폰금리가 2%라면 연 200원의 쿠폰이자를 지급

    하지만, 국채는 만기 때 지급되는 미리정해진 원금(액면가)의 가격과 지금 매매되는 국채의 가격(매매가)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쿠폰금리는 실제로 받게되는 금리와는 무관

    이처럼 국채의 만기수익률(매매금리)란 매매가격 대비 고정 쿠폰이자의 비율을 말하는데 지금사서 만기까지 보유할 때 얻게되는 연 수익률을 말함 

     

    채권금리와 수익률의 개념채권금리와 수익률의 개념채권금리와 수익률의 개념
    채권금리와 수익률의 개념

    3. 혼재되어 사용되는 수익률의 개념 [ 수익률(Yield) vs 수익률(Return) ] 

    채권수익률은 Yield: 매매차익을 고려하지 않은 만기수익률

    ▶ 채권, 주식, 부동산의 수익률(Yield)
    채권의 수익률(yield to maturity) = 연간 수령이자 / 채권가격
    주식의 수익률(earnings yield) = 연간 주당순이익 / 주식가격
    부동산의 수익률(rental yield) = 연간 임대료 / 부동산 가격

     

    Yield를 통해 자산의 적정 매매가격 산출하기

    적정매매가격 = 연간수익 / 적정이자율(요구수익률)
    예들들어 연간 임대료 수입이 1,000만원인 상가의 적정가격은
    1) 적정이자율이 2%라면, 1,000만원(임대료 수입) / 2% = 5억원
    2)적정이자율이 4%라면, 1,000만원(임대료 수입) / 4% = 2.5억원

     

    통상 주식수익률은 매매차익을 고려한 Return: 원금대비 투자수익률의 개념(매도 때까지 발생한 투자원금 대비 총소득)

    [투자수익률(Return) = 총소득 / 투자원금]
    예를들어, 애플 주식을 1년 전 69.86달렁 사서 126.66달러에 매도했다면
    총소득(57.61달러) = 매매차익(56.8) + 배당금 수입(0.81)
    투자수익률(Reurn) = 총소득(57.61) / 투자원금(69.86) = 82%

     

    채권금리와 수익률의 개념채권금리와 수익률의 개념채권금리와 수익률의 개념
    채권금리와 수익률의 개념

    4. 마이너스 채권?

    마이너스 채권이란 예를들어, 액면가가 1억원인 10년 만기 국채가 현재 1억 1,000만원에 거래되고 있는데 10년 뒤에 내가 돌려받는 원금은 1억 1,000만원이 아닌 1억원인 경우처럼 현재 국채가격보다 만기에 돌려받는 원금이 더 작은경우를 말함

    얼핏보면 비상식적으로 들리지만 국채는 거액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자산이기에 가능.
    즉, 보관료(마이너스 수익률)을 물더라도 투자를 해야하는 경우 발생.
    거액을 손쉽게 사고 팔 수 있는 경우는 국채말고는 흔치 않음. 국채는 좋은 투자수단이자 굉장히 안전한 거액 보관 수단.

     

    5. 돈에대한 수요와 공급이 결정하는 이자율

    돈을 빌릴 사람은 없는데(자금수요) 빌려주겠다는 사람(자금공급)이 많은 경우에는 마이너스 금리(보관료개념)가 가능.
    이처럼 이자율은 돈에 대한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데 우리나라가 성장하던 시절에는 자본축적이 안 돼 금리가 굉장히 비쌌었는데 이는 자본축적(자금공급)이 안되어 있는 상태에서 돈을 빌려 투자를 하려는 사람(자금수요)이 많아 금리가 높았으며, 반대로 경제성장 이후 저축은 계속 쌓이는데(자금공급) 투자해서 돈 벌 곳이 잘 없는 경우(자금수요)에는 금리가 떨어짐.
    이처럼 금리는 결국 자금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 

     

    6. 시중 금리가 떨어지는 원리

    중앙은행이 시중에 유동성(현금)을 공급하는 전형적인 방법은 국채를 매수하면서 현금을 공급
    이럴 경우, 시장의 국채의 양은 줄어들고 현금의 양은 늘어나면서 국채의 가격은 올라감
    이때 현금 공급이 늘면서 금리는 떨어지게 됨 

     

     

    반응형